반응형
변수의 사전적 의미
-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
신속한 코드 파악 또는 업무적인 효율성을 위해선 필히 변수 설정이 필요하다.
의미없는 변수가 아닌, 유의미하게 변수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자.
변수 사용에 앞서, 변수 선언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.
설정할 변수 앞 'let' 키워드를 부여하게 되면, myAge라는 변수가 선언된다.
변수에 임의의 값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 ' = ' 부호를 사용하여 값(문자, 숫자 가능)을 할당한다.
수학적 의미의 '같다'가 아닌, 프로그래밍을 위한 할당 부호라고 생각하면 편리할 것 같다. ex) myAge 라는 변수에 23을 임시로 대입했다.
변수 선언과 할당을 통합하여 진행도 가능하다.
let 키워드를 부여한 변수 선언은 한 번만 진행한다.
상기 코드 안에는 myAge의 값이 3번 변화한다.
초기 설정 값 22, 추가로 1씩 더해져 23, 24의 값이 도출된다.
변수 선언 이후 처음 할당된 변수의 값은 22이다.
myAge = myAge + 1; 의 경우 계산을 위해선 myAge변수의 유의미한 값이 필요하다.
그렇기 때문에 현재 설정되어있던 myAge = 22;의 값이 위 코드에도 대입된다.
정리하자면,
myAge = 22(myAge의 값) + 1 로 계산할 수 있다. 즉, 23이 입력된다.
반응형
'Cod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스트링 메소드(String Method)와 문자열 기본 사용법 (0) | 2020.09.13 |
---|---|
Javascript 조건문 if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 (0) | 2020.09.13 |
Javascript 타입(type)에 따른 작동 방식의 차이 // String(), Number() (0) | 2020.09.13 |
Javascript 함수(function), return 명령문, 함수선언 및 개념 (0) | 2020.09.13 |
Javascript // 타입 (type)과 종류 (0) | 2020.09.13 |